티스토리 뷰
주식을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은 어떻게 구분되어 질까요?
그건 플러스이냐? 마이너스이냐? 로 구분합니다. 내가 주식 경력이 짧아도, 돈을 벌면 주식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불릴것이고, 내가 공부를 아무리 열심히 했어도 돈을 잃으면 주식을 못하는 사람으로 불릴것입니다.
그럼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식 투자 방법 (한가지 패턴으로만 투자하기)
주식 투자에 대한 나만의 스타일을 만들 때는, 복잡하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몇가지만 기준을 정해놓고, 그것만 지키면 됩니다.
아니다 싶으면 계속 보완해나가면 됩니다.
- 거래량
세력은 다 속일 수 있어도 거래량은 못 속인다고 합니다.
거래량이 터졌을 때, 돈이 들어온건지 나간건지 생각해보고 전자인 경우에만 매수를 합니다.
거래량이 터진 종목의 과거 챠트를 보고, 비교해봐야 합니다.
- 주가 위치
달리는 말에 올라타야 한다고 하지만, 언제 떨어질지 모르는 불안감과 싸우기는 싫습니다.
주식은 멘탈 싸움이기 때문에, 매수해놓고 멘탈이 흔들리는걸 사전에 차단하기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주가가 바닥인 종목을 매수하는게 차라리 속이 편할 것입니다.
- 재무재표
회사의 실적이 좋지 않은 주식은 사전에 거르는게 좋습니다.
역시나 상폐 라는 불안감 때문에 멘탈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3가지 외에 몇가지 더 확인해야할 사항이 있지만, 그건 나중에 공개하겠습니다.
1월 부터 한가지 패턴에 대해서만 매수, 매도 할 계획입니다.
수익을 주는 주식 매매법이 되길 바랍니다.
주식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
요새 전문가들의 말을 들어보면, 깡통 안차본 사람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들이 깡통을 여러번 차보고 나서야 주식 투자 방법에 대해 위와 같이 깨달았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내용을 계속 바라보면서,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게 뭘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진짜 깡통차기 전에는 저거 다 지킬수는 없을테고, 이 중 한가지만이라도 지켜야 한다면 그건 무엇일까요?
제가 내린 결론은 바로 '본인만의 매수,매도 스타일을 만들어라' 입니다.
당연히 처음에는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부족한걸 보완하면서 자신만의 스타일이 완성되면, 전문가들이 하지 말라는건 자동적으로 안하게 될 것입니다.
"난 어떤 자리에 있는 주식만 매수할거야." 라고 미리 정하고 계획한다면, 추격 매수랑 뇌동매매는 안하게 될것이며 주식리딩방에 기웃거릴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즉, 전문가들이 하지 말라는건 안하게 될것입니다.
유료 주식 리딩방의 운영 방법
유료 주식 리딩방에서는 회원들에게 보통 꼭지에 있는 주식을 추천합니다.
(꼭지에 있는 주식은 급등, 아니면 급락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들은 떨어진 종목은 제쳐주고, 급등한 종목만 강조하며 사람들을 현혹시킵니다.
"우리 실력 봤지? 몇일 만에 10% 수익, 20% 수익 났습니다.".
종목이 급락하면 "지금은 시장이 안좋아 빠지고 있지만, 곧 다시 회복할겁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떨어지면 기회봐서 추가매수 들어가겠습니다." 하다가 결국 팔지도 못하고 계좌에 묵혀두고 수익 날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런 종목이 많아지면, 대응이 불가능해져 카톡방을 폭파 시킵니다.
"카톡방이 하도 많다 보니, 나가기를 잘못 눌렀습니다.", "주식 리딩해주시는 매니져가 갑자기 잠수를 탔습니다." 등등 말도 안되는 이유를 만듭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없었던 것처럼 방을 새로 만들어 회원들을 초대하고, 새롭게 시작합니다.
내가 힘들게 번 돈을 주식에 투자하는데, 누구의 말을 들을 필요는 없습니다.
나에게 확신이 있는 투자법 한가지만 있어도, 주식 하면서 돈을 벌 것입니다.
주식을 잘 하시는 분들은 모두 자신만의 매매법이 있습니다.
저 역시 나만의 매매법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 보겠습니다.
※ 2023년도부터 주식하는 사람은 지금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세금을 덜 내기 위해서는 중개형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올해 꼭 만들어야 한도가 2,000만원 늘어난다고 하니, 아래 내용 참고 바랍니다.
ISA계좌 장점 단점 (중개형 ISA)
중개형 ISA 계좌 - ISA 가입 대상 및 상품 유형 - 현재 세금 정책 - 중개형 ISA의 장점 및 단점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의 경우 대출을 받을 때 이율 우
withlj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