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당신은 소득이 낮거나 신용이 좋지 않습니까? 당신은 무직자인가요?

무직자, 직장인도 가능한 정부지원 서민대출이 있는데요. 그건 바로 '새희망홀씨' 대출입니다. 당신은 소득이 적거나 신용이 낮아도 받을 수 있는 대출에 대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부에서는 은행과 협력하여, 소득이 적거나 신용이 낮은 취약계층을 위해 별도의 심사기준을 마련하여 새희망홀시 대출을 출시하였으니, 자격조건과 한도 금리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자격조건

연 소득이 3,500만 원 이하인자 및 연소득 4천5백만 원 이하이면서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20%(종전 신용등급 6등급 이하)에 해당되는 등 조건에 맞으면 새희망홀씨 대출을 직접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소득이 있는 직장인으로서, 4대 보험을 3개월 이상 납부하였다면 대출 자격조건에 해당됩니다.

 

직장이 없는 무직자라 하더라도 소액이라면 새희망홀씨 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요. 무직자라서 대출이 안되었다면, 이번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새희망홀씨'대출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소득이 없는 만큼 자세한 한도는 한도조회를 통해 꼭 확인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만약 자격조건에 적합하다 하더라도, 연체가 있거나 기존 대출이 과하게 많이 있다면 심사 중 부적격으로 판정되어 대출 실행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도 및 금리

최대 3,000만 원까지 대출 이용이 가능한 새희망홀씨의 대출 금리는 연 6% ~ 10%로 신청자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대출한도  최대 3,500만원 (22년 10월부터 500만원 상향)
대출금리  최소 연 6%로 신용등급별 차등 적용
대출기간  1년 이상 ~ 최대 7년 (상환 5년)
자격조건  직장인, 사업자, 자영업자, 무직자

 

대출기간은 최대 5년으로 거치기간은 없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습니다.

 

대출 상환 방법은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과 '원금 균등 분할 상환'이 있습니다.

  •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 대출금액과 이자금액의 합계액을 대출기간 개월 수로 균등하게 나누어 산정한 분할상환 원리금을 매월 납부
  • 원금 균등 분할 상환 : 대출금액을 대출기간 개월 수로 균등하게 나누어 산정한 분할 상환금과 이자를 매월 납부

 

3자녀 가정, 청년층, 고령자, 장애인, 금융교육 이수자, 기초생활수급권자,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등의 조건이 있을 시 감면금리가 적용됩니다. 또한 일부 은행에서는 부수거래 가입 신청 시 추가로 감면할 수 있는 정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청방법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나에게 맞는 대출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취급 은행 메뉴를 통해 원하시는 은행을 선택하시면, 바로 이동 가능하세요.

 

1.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접속하기

새희망홀씨 대출을 신청·조회하기 위해서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야 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2. 새희망홀씨 대출 검색하기

대출상품전체 > 키워드 검색에 '새희망홀씨'를 입력하고, 검색을 누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도록 옵션을 선택하면, 본인에게 해당되는 대출을 손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검색 결과 확인하기

다양한 금융상품이 검색되실 텐데요. 이 중 새희망홀씨에 해당되는 취급 기관, 대상, 대출한도를 확인하시고 상세정보를 선택하세요.

4. 구비서류

새희망홀씨 대출을 신청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비서류입니다. 

  • 본인 확인 서류 : 주민등록증 or 운전면허증
  • 재직확인 서류 : 재직증명서, 재직 확인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 소득확인 서류 : 소득금액 증명원, 건강보험료 납부내역, 급여통장,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 소득확인 서류 (일용직) : 근로 고용 계약서, 일용근로소득 지급 명세서, 급여통장

새희망홀씨 대출 상품의 조건은 은행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전화 상담 후 서류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적확합니다. 아래 취급은행을 통해 각 은행 별 상품을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 취급은행

새희망홀씨 대출 상품은 총 15곳의 은행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래 은행을 선택하시면,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취급은행 문의번호
국민은행 1588-9999
우리은행 1588-5000
신한은행 1577-8000
하나은행 1588-1111
제일은행 1588-1599
농협은행 1588-2100
기업은행 1566-2566
수협은행 1588-1515
부산은행 1544-6200
대구은행 1566-5050
경남은행 1600-8585
광주은행 1588-3388
전북은행 1588-4477
시티은행 1588-7000
제주은행 1588-0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