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ㅣ MSCI란 무엇인가?

     - MSCI에 대한 설명

     - MSCI에 대한 우리나라 위치


 

먼저 예를 들어볼께요.

여러분들에게 주식을 잘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나 여윳돈이 한 1,000만원 있는데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까?"

주식 잘하는 친구는 "A종목에 200만원, B종목에 500만원, C종목에 300만원 넣어." 라고 말해줍니다.

몇일 뒤, 친구에게서 다시 연락이 옵니다.

"C 종목에 있는 돈을 빼서, D 종목으로 넣어."

 

 


 

 

MSCI는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사(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 의 약자로,

전세계 2대 벤치마크지수 중 하나입니다. (다른 한곳은 FTSE)

 

위 예에서 주식 잘하는 친구가 MSCI 이고, A,B,C,D 종목은 나라이며, 나는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즉, MSCI(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사)에서 투자를 잘 할수 있도록 어느나라에 얼마만큼

투자하겠다라고 발표를 하는데, 투자자들이 그 포트폴리오에 맞춰 투자를 합니다.

MSCI지수를 추종하는 전 세계 펀드 규모만 약 3조 5000억달러라고 하니, 그 영향력이 어마어마합니다.

 

MSCI에서는 리밸런싱을 1년에 4번 진행합니다. (2월,5월,8월,11월)

이 리밸런싱을 통해, 새로 추가되는 종목이 있으며 제외되는 종목이 있습니다.

위 예에서 D 종목이 MSCI에서 편입되었다고 볼 수 있고, C 종목이 편출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D 종목은 MSCI 편입으로 인하여 외국 자금이 투입될것이고, C 종목은 편출로 인하여 자금이

빠져나갈것입니다.

이렇듯 주식하는 사람은 MSCI에서 내가 보유한 종목이 편출되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외국 자금이 빠져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총 107개 기업이 MSCI지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비중이 29.28%로 가장 높고, 비중이 1% 미만인 기업은 88개 입니다.

 


 

 

MSCI는 크게 미국·유럽 등의 선진국지수와 아시아·중남미 지역의 신흥시장지수, 프런트시장으로 구분됩니다.한국은 1992년 신흥시장에 편입되었으며, 2008년부터 선진시장으로의 승격이 검토되었으나

아직까지 편입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역외 외환시장 부재, 영문 공시자료 부족, 주식시장 데이터 사용 제한, 외국인 투자자 등록 복잡,

공매도 규제 등의 사유를 문제시 삼고 있습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하니, 상황을 지켜봐야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저를 포함하여 경제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한 글 위주로 작성됩니다.

경제 전문가님들께서는 잘못된 내용 또는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새콤달콤한 공룡 -